박근혜 대통령, 당신이 '사퇴'해야 하는 이유-장호준
1975년 8월 17일 경기도 포천 약사봉에서 의문사 하신, 재야대통령 고 장준하 선생님의 아들 장호준씨가 삼일절을 맞아 오마이뉴스에 보낸 공개서신 내용입니다. 당연히 출처는 오마이뉴스이고, 원문 그대로 싣는 이유는 그 동안 마음 속에서만 막연히 떠돌던 생각들을 워낙 잘 표현하여 일침을 가하시니, 읽는 동안 가슴이 뜨거워지고 너무도 공감이 되었기 떄문입니다(원문 링크 ☞오마이뉴스). 그 분의 말씀 중 저의 뇌리를 두드렸던 절절한 키워드들을 나열해 봅니다. [아버지, 장준하, 공주놀이, 광주 민주화 항쟁, 다카키 마사오, 유신 독재, 권력의 사유화, 천민 자본주의, 세월호, 친일청산, 무능과 무지, 권불삼년, 사퇴] "분명히 닭은 망국 조류입니다." - Barracuda - 박근혜 대통령 귀하 1975년,..
더보기
와이루, 와이로의 유래, 바른 뜻과 사용법[우리말 바로 알기]
우리가 자주 쓰는 '와이루', '와이로' 라는 말, 어디서 온 것일까요? 저는 이 말이 영어의 와이어(wire, 줄) 라는 뜻에서 온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습니다만, 근거 없는 추측이었네요. 이 '와이루' 라는 말의 뜻은 "뇌물(을 주고 받음)" 이며 우리 말이 아닌 일본어입니다. 와이로는 일본어(わいろ, 賄賂: 회뢰, 뇌물을 주고 받다)에서 온 말 '국민학교' 세대는 아마도 많이들 기억하실 듯 합니다. "선생님한테 와이루를 먹였다", "너 와이로 썼니?" ... 자라면서 이런 말들 가끔씩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말은 1997년 국립국어원이 '국어순화용어자료집'을 발표하기 전까지는 공식적으로 우리말이었었는데, 사실 비공식적으로도 우리말이었고, 그 이후 지금까지도 우리말로 잘못 쓰여지고 있으며, 현재도 ..
더보기
[우리역사 바로 알기] '3.1운동'을 '3.1혁명'으로 바꾸자
"찬란한 '3·1 혁명', 누가 '3·1 운동'으로 바꿨나". 2014년 3월 1일자 오마이뉴스 기사의 제목입니다. 95년전인 1919년 3월1일부터 근 3개월간 지속된 이 일대적 사건은, 세계 역사를 통틀어 가장 대규모의 비폭력 평화 시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회주의 역적 이승만과 친일파들이 만든 '3.1운동' 이라는 말 공휴일의 명칭으로는 '3.1절', 우리는 여태 그 사건의 이름을 3.1운동이라고 불러 왔습니다. 다름 아닌 헌법에 그렇게 명시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친일파 이승만(당시 국회의장)과 윤치영, 백관수, 김준연, 이종린 그리고 조헌영, 조국헌에 의해, 유진오 선생의 헌법초안에 명시된 '3.1혁명' 이라는 표현에서 '항쟁', '광복'으로 바뀌더니 급기야 '기미 3.1운동' 이라는, '단순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