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블로그 수익의 환상 깨기(후속글) - 수익 실험 결과 공개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2013년 11월 한 달 동안 구글 애드센스 광고와, CPA 머천트 연계 수익성 포스팅 1개를 통해 벌어들인 수익을 예정대로 공개할까 한다. 대략으로나마 이 정도의 활동을 하면, 상식선에서 이 정도의 수익이 실제로 발생한다 라는, 지난 포스팅의 내용을 증명하는 의미에서의 공개이다. 그러니, 발생한 수익의 금액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아두시기 바란다. CPA의 경우 포스팅 단가도 비교적 낮은 편이다. 최종 합산을 해 보면 (US dollar 로 9.93 이면 10,496원) + (22,000원) = 32,496 원이 된다. 아주 보잘 것 없는 작은 금액이 될 수도 있겠지만, 앞서도 설명 했듯이 아주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도 있는 점을 알 수도 있을 듯 하다. ☞ 지난 포스.. 더보기
MBC 예능, 진짜사나이 - 너무 멀리 간다 싶더니 TV로 연예 오락 프로그램을 즐겨 보지는 않지만, 유독 관심을 가지고 보는 게 , 그리고 . 그 외의 프로그램은 거의 다 자연 다큐멘터리나 시사/교양프로그램 들이다. 혹시 못 보면 지난 회를 Pooq이나 IPTV로 챙겨보기도 하는데, 이번 해군2함대 입대 편은 보는 내내 불편했다. 시종 일관 강압적이고 위협적인 지휘 방식이나, 무리스러운 상황 연출도 그렇고 말이다. 내가 군대 생활을 안해 본 것도 아니고, 군에 입대한 아들까지 있는데, 요즘 군대 저렇지 않다던데 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나이 어린 여군 소위(갑판사관 이던가)가 짠밥이 한참 위인 원사(상사?) 앞에서 고래 고래 소리치는 모습이나, 40대 아저씨 출연자들에게 '너' 라고 하는 모습도 그렇고, 점호 때 두고 보자는 등... 아니나 다를까, .. 더보기
[시대 비판] 공영방송, 앵커 교체만 한다고 혁신이 될까? 공영방송, 앵커 교체만 한다고 혁신이 되나? (부제: 발 묶인 꾀꼬리의 잔상) "젊은 분위기로 이미지 쇄신", "새 바람 일으킬 것", ... KBS 민경욱에서 최영철(문화부 출입) 기자로, 2013년 10월21일 MBC 권재홍에서 박상권으로, 2013년 12월18일 뉴스 앵커를 젊은 진행자로 바꾸고, 진행 방식을 역동적(다원, 대담 방식... 이런거 예전에는 안했나?), 현대적으로 바꾸면 방송이 혁신될까? 언론이 언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단순히 앵커의 얼굴만 젊은 모습으로 바꾸고, 화려한 그래픽과 생생한 화질로만 승부한다고 뭐가 될지 모르겠다. 옷을 갈아 입는 상황도, 방식도 너무 식상하다. 이것이 공영방송의 진정한 역할인가? 앵커 교체 과정이나 프로그램 편성시에도, 과정이 투명하거나 합리.. 더보기
대한민국 암 발생 확률/통계의 허상 - 누구를 위한 분석인가? 대한민국 암 발생 확률/통계의 허상 몇 년 전 병의원, 보험 등의 광고나 홍보 자료에서 보여주는 암에 걸릴 확률이 25% 이라고 하는 내용들을 본 적이 있다. 그에 따르는 설명으로 한국인이 암에 걸려서 사망할 확률이 5명 중 1명이라고 설명한다. 최근, 한국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우리 나라 국민들이 평균 수명(남: 77, 여:84) 까지 산다는 가정 하에 암에 걸릴 확률이 36.2%라고 추산하고 있다. 실제로 이런 신문 지상이나 방송의 통계 분석 결과를 암 보험 광고 등에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데는 문제가 있다고 본다. 어떻게 보면, 실로 경악을 금치 못할 통계 분석 데이터 관점의 오류/곡해이다. 즉, 일반화된 전체 분석결과를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암 발생 비율이 높게 표시된 특정 부분만을 강조하여,.. 더보기

반응형